페이지

2013년 1월 10일 목요일

이제 일렉기타 포텐셔미터의 끝장을 보려 한다. linear potentiometer vs audio potentiometer !!



애네들이 머하는 애들인데 4개나 있지? CTS 500K long shaft audio taper 라는

분들이시다. CTS 는 제작회사 이름, 500K는 용량, long shaft 는 목이 길어서

깁슨같이 탑이 두텁거나 PCB 형태로 된 기타에 쏙 들어갈 수 있고, audio taper 는

포텐셔미터의 한 종류이다. 아~ 복잡하다고? 궁금하면 100원~!! ㅋ

암튼 이분들께선 기타 볼륨과 톤 노브에 들어가는 포텐셔미터 혹은 가변저항

이란 일반적인 명칭을 가진다. (taper or pot 라고도 한다.)

그런데 왜 밖에 나와 있냐고? 부실한 정보를 읽고 잘못 구입해서 사용되지 못한

놈들이다. 새것이지만 언제 사용될 지 모르겠다. ㅜㅜ (누가 좀 분양해 가셈.. ㅋ)

인터넷에 포텐셔미터에 대한 잘못된 글들이 많아서 사람들이 혼돈을 많이 느끼고

있고 나 또한 그러했다. (해외 사이트에도 비슷한 많은 경우를 발견했다.)

그럼 여기서 본인이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일렉기타용 포텐셔미터의

끝장을 보자. ㅋㅋㅋ

일단 포텐셔미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여기서는 일렉기타에 대한 것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Potentiometer.jpg


위의 것 같이 생긴넘이 포텐셔미터란 넘인데 (어릴때 라디오 볼륨 뜯어보면 이런거 봤었지?)




안에는 이런넘이 들어있어서 저항값이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면서 톤을 변화시킨다.

일단 저항값은 250K, 300K, 500K 등을 많이 쓰는데 일반적으로 싱글픽업에는 250K,

험버커에는 500K를 사용한다. 이유는 저항값이 커질수록 그라운드 되는 양이 적어져서

아웃풋으로 나가는 톤이 덜 깎이게 되기 때문에 하이톤이 살아있게 된다.

왜 싱글에서 하이톤을 더 깎냐고? 궁금하면 100원~~ 이 아니라 직접 들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싱글과 험 둘 중에 평소에 누가 더 깽깽거리는지.. 

아무튼 선택은 각자 나름이겠지만, 용량에 대한 선택은 그리 어렵지가 않다.

하지만, linear taper vs audio taper (혹은 log taper) 를 선택하란다.

이건 또 무슨 소리야.. ㅋㅋㅋ



위의 그림을 보면 포텐셔미터의 종류별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인데,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C형, B형, A형 Taper 를 나타낸다. 커머셜 로그라고쓰인것은 A형은 이론상이고 실제로

구현하기는 쉽지 않아 실제 팔리는 제품의 그래프를 그린것이다.

C형은 reverse audio 용이라고 알 필요 없을 듯 하고, 중요한건 A와 B형!!

간혹 A, B형을 혼동하여 적어놓은 글들이 많던데, (본인도 이것 때문에 구글링을 무척했음)

일단 일본과 미국에서는 A형이 Audio taper, B형이 Linear taper 라고 일반적으로 쓰고 있다.

용도로는 linear 형은 일정한 값을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계측기에 주로 사용되고, Audio형은

말 그래도 오디오 기기에 볼륨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국내는 물론 해외 사이트에서도 많이 질문되고 있는 사항이기도 한 내용인 즉,

볼륨조절에는 어느것을 쓰며 톤조절에는 어느것을 쓰는가 하는 문제이다.

일단 주요 기성품인 펜더와 깁슨을 보면 펜더는 주로 Audio 형을 구분없이 쓰고 있고,

깁슨에서는 볼륨에는 linear 형을, 톤에는 Audio 형을 쓰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오디오 볼륨에는 Audio 형 즉 A형 taper 를 사용하라며!!

그러니까 기타도 볼륨조절에 Audio형 taper 아녀? 그럼 깁슨은 멍청해서 linear 형을?

아니면 linear 형이 가격이 싼가? 머 원가는 모르겠지만.. 시중에서 파는 가격은 

linear형 이라고 싸지 않다.

어디서 들으니까 사람의 가청 영역은 log 곡선으로 증가한다며~ 그러니까 audio 형이지!

음.. 나도 어디서 듣긴 들어본거 같은데.. ㅋ  그럼 linear 형은 왜 필요해?




복잡한 이론은 놔두고라도 실제로 동작하는것은 위의 그림대로 linear 형은 돌리면

돌리는 대로 값이 바뀌고 log 혹은 audio 형은 초반에는 조금씩 바뀌다가 후반에

회까닥~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그럼 왜 이것도 쓰고 저것도 쓰고 하는걸까? 

내가 분석한 결과는 이렇다. 제대로 된 오디오 기기는 볼륨 50% 이상 올리는 경우가 

드물다. 그리고 90% 이상 올리게 되면 스피커가 폭발하던 아랫집이 폭발하던 둘 중

하나의 경우가 발행한다. ㅋㅋㅋ (농담이고, 출력이 세어지면 소리가 왜곡될 수 있다.)

그래서 초반부터 중반까지 영역이 넓은 log 커브를 가진 audio용 taper를 사용하며,

앞쪽 0 ~ 50% 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미세하게 조절하기도 용이하다.

그럼 기타는? 앞쪽 볼륨에서만 깨작거리는 사람 별로 없을듯 하다. 아마 뒷쪽 50 ~ 100%

부분을 더 많이 이용할 것이다. 이 부분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것이다. 

드라이브된 소리를 주로하는 측은 어짜피 왜곡되는것은 큰 의미가 없다. 드라이브가 이미

왜곡이므로 ㅋㅋㅋ 하지만 볼륨의 증가, 감소의 컨트롤 용이성이 우선 될 수 있으므로

linear 형을 볼륨에 쓰는 것이고, 클린톤 위주의 연주자는 왜곡된 사운드 보다는 본연의

톤이 중요하므로 audio 형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원래는 모두 다 audio 형만 이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기타를 드라이브된 소리도 많이

이용하면서 볼륨에 linear 형을 이용하게 되고, 전통을 중요시 하는 모델에서는 아직도

audio 형을 사용하는듯 하다. (악기에게 전통은 중요한 것이지!! ㅋ)

하지만, 펜더 사용자 중에서도 볼륨 컨트롤의 용이성 때문에 linear 형으로 개조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고 한다. (카더라 통신..)

그럼 왜 톤에는 깁슨도 audio 형을 쓰는것이지? 아는 분들도 있겠지만, 톤은 볼륨과 반대

현상을 이용한다. 볼륨은 값을 크게 할 수록 저항값이 증가하여 출력이 세어지지만, 톤은

값을 크게 할 수록 흘러나가는 신호가 늘어 톤이 덜 깎인다. 먼 소리야.. 암튼 그런단다. ㅋ

그럼 정확하게 깍이는 linear 형을 쓰면 되지 왜 audio형을 쓴담? 볼륨의 반대의 경우라고

했으니 반대로 생각해보자. 오디오 볼륨에서 0~50% 까지의 레인지가 넓은 audio 형을

사용한다고 했다. 기타의 톤은 어떠한가 주로 50~100% 부분의 하이톤 영역을 많이 컨트롤

한다. 그러므로 하이쪽 영역의 레인지가 넓은 audio 형 taper 를 사용하여야 톤 조절이

용이하다.  이 경우도 이전 경우처럼 선택이 가능하다.

나는 정확하게 출력을 줄이고 싶다.. 라고 하면 linear 형을 톤 taper 로 사용하여도 된다.

어디까지나 선택의 문제이지 정답은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의 많은 글들이 마치

자기의 얘기만 정답인양 써 놓아서 기타 전문가(?)들이 많다는 뮬을 비롯해서 많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논쟁꺼리가 되는 것 같다. (해외도 마찬가지.. ㅋㅋ)

본인 대학 다닐때 보면 기계과 다음으로 전자공학과 인원이 많았는데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정도 수준의 전자이론은 충분히 이해하리라고 본다. 


위의 그림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구한 audio taper curve 의 회사별 데이터 값이다. 

신뢰성은 모르겠지만, 일단 정확한 값이라고 할 때 어떤 회사의 제품이 좀 더 log

곡선에 비슷한것인지는 알 수 있을 듯 하다.

집에 gibson 기타가 있어서 측정을 해봤는데, gibson 제품보다 CTS 제품의 오차범위가

더 적게 나와서 gibson 이 이런곳에서 원가절감을 한다던 소문이 혹시 사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ㅋㅋㅋ  (gibson 도 예전에는 CTS 제품을 사용하였었단다.)


쓰고 나니 엄청 길어지게 되었는데, 혹시나 본인처럼 이런 부분에 대한 궁금함이 있었던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 1개:

Lake Jeong :

안녕하세요? 테스코의 정호수입니다.
말씀주신 Potentiometer 제조회사 CTS의 국내 정식 대리점입니다.
Potentiometer 구매 시 도움 드릴 수 있을 것 같아 글 남깁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연락부탁드립니다.
010-6245-3347
harrison@tescoinc.co.kr